세부과제명
환경02 - 친환경 쌀 생산단지 환경요인 분석
연구책임
최승출
등록일
2009-07-06
조회수
3232
연도
2008
연구과제명
친환경 고품질 쌀 생산 기술 개발
과제구분
기본연구
첨부파일
2008_3환경_02친환경쌀생산단지환경요인분석.pdf
(다운로드 수: 555)
내용
과제구분 | 기본연구 | 수행시기 | 전반기 | ||
중장기 Code | RIMS Code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 연구분야 (Code) |
수행 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
친환경 고품질 쌀 생산 기술 개발 | 환경생태 ES02 |
06~08 | 강원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최승출 | |
---|---|---|---|---|---|
친환경 쌀 생산단지 환경요인 분석 | 토양환경 ES0101 |
06~08 | 강원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최승출 | |
색인용어 | 친환경 고품질쌀, 토양중금속, 쌀 안전성, 품질 |
적 요
본 연구는 우리도 친환경 고품질쌀 생산단지들의 재배토양 중금속, 농업용수 등 환경요인을 조사하고 또한 생산된 쌀의 안전성 및 품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우리도 친환경 고품질쌀 생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우리도 최고쌀(Top rice)단지와 친환경 쌀 재배단지 5개소 농경지 전 필지의 중금속 함량조사한 결과 카드뮴은 평균 0.02~0.05, 납은 4.23~5.82mg/kg 수준이었고, 토양환경 기본법의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필지는 없었다.
2. 친환경 최고쌀 단지 사용 농업용수 수질은 1~2급수로 청정하였고, 농업용수 수질기준상의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다.
3. 우리도 최고쌀(Top rice)단지와 친환경 쌀 재배단지에서 생산된 쌀의 중금속 함량은 평균 카드뮴 0.01~0.03, 납 0.01~0.06mg/kg이었고 식품위생법의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시료는 없었다.
4. 생산된 쌀의 단백질 함량은 4.5~5.0%, 아밀로스 함량은 19% 수준이었고, 완전미율은 중만생종이 높은 경향으로 80~97%, TOYO 식미치는 80~90으로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