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작경08 - 1) 강원도 전자상거래 농업인 활성화 방안연구
연구책임
모영문
등록일
2009-07-06
조회수
5038
연도
2008
연구과제명
농가 농업정보 시스템 지원
과제구분
기본연구
내용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중장기 Code   RIMS Code 2007B0011000085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Code)
수행
기간
연구실 책임자
  농가 농업정보 시스템 지원 농업경영
LS0201
04~08 강원도농업기술원
작물경영연구과
모영문
  1) 강원도 전자상거래 농업인 활성화 방안연구 농업경영
LS0201
04~08 강원도농업기술원
작물경영연구과
모영문
  색인용어  전자상거래, 포탈사이트, 쇼핑몰, 홈페이지
 
 

적 요

◦ 강원도내 전자상거래 홈페이지 운영 농업인의 운영활성화를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 자체조사 결과 2008년 도내 전자상거래 홈페이지 운영농업인은 752개소로 전국 8,347개소 대비 9.0% 수준이었다
  - 도내 운영홈페이지 대비 평균 운영활성화 비율은 63%였으며, 횡성이 77%로 가장 활발히 운영되고 있었다.
 
◦ 홈페이지 운영 농업인 270명을 대상으로 회수된 112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 홈페이지 운영목적은 "농산물 판매"라는 응답이 70.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농장홍보 또는 광고" 라는 응답이 23.5% 순이었다.
  - 홈페이지 운영상 애로사항에 대한 질문의 응답결과는 "홈페이지 운영관리의 기술적·전문적 지식 부족" 44.2%, "홈페이지의 대외 홍보 및 광고 활동" 43.3%였다
  - 연간 홈페이지 광고비용은 "10만원 이상 ~ 50만원 미만"의 응답결과가 24,6%였으며, "없다" 라는 응답이 23.2%, "50만원 이상 ~ 100만원 미만"이 21.7% 순으로 높았다.
  - 홈페이지 홍보를 위한 활동장소에 대한 질문의 응답은 "지인 또는 고객 등을 통한 입소문"은 43.0%가 응답하였다.
  - 홈페이지 운영 지원 관련해서 농업기술원의 역할에 대한 응답은 "농업인 홈페이지 운영 활성화를 위한 대외 홍보 지원" 33.7%, "전자상거래 운영활성화를 위한 전반적인 컨설팅 지원"이 29.7%로 순이었다.
  - 농업인 전용 포털사이트의 공간 필요성 및 농업인 전용 블로그 활용 의사에 대한 질문 응답은 공히 94.4%였다.
  - 또한 농업인 전용 포털사이트의 형태는 쇼핑몰형 49.0%, 카페형 27.0%, 블로그형 16.0%, 미니홈페이지형 8.0%으로 쇼핑몰형을 선호하는 경향이었다.
 
◦ 농업인 홍보 및 정보공유를 위한 포털사이트 “농터” 개발은
  - 기존 개발된 농업인 지원 홈페이지(팜로그 등 15개소)를 통합관리하고
  - 블로그 홈페이지(팜로그)를 연계하여 농업인 참여 커뮤니티를 형성, 정보공유 및 농산물 홍보 등을 목적으로 하였다
 
◦ 쇼핑몰 운영실태에 따른 개선방안은
  - 쇼핑몰별 매출규모는 입점농가 대비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 방문객 및 회원수 대비 평균 구매액이 낮아 충성고객 확보가 필요하였다
  - 홍보 및 광고활동을 통한 회원확보와 쇼핑몰의 신뢰감 구축으로 충성고객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008_1작경_08강원도전자상거래농업인활성화방안연구.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