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작경01 - 3) 동해안지 우량계통 지역적응성 검정
연구책임
김재록
등록일
2009-07-06
조회수
5297
연도
2008
연구과제명
벼 신품종 육성연구
과제구분
기본연구
내용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중장기 Code A RIMS Code 2007B0011000009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Code)
수행
기간
연구실 책임자
  벼 신품종 육성연구 벼 LS0101 02~10 작물경영연구과 김재록
  3) 동해안지 우량계통 지역적응성 검정 벼 LS0101 06~08 작물경영연구과 김재록
  색인용어  벼, 신품종, 육성, 호반벼, 농가실증
 
 

적 요

강원도 동해안지의 지리·기후적 여건에 알맞은 고품질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3년간에 걸쳐 강원 4~9호의 지역적응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원 4호는 3년(‘05~’07)간의 지역적응시험 결과 우수하여 ‘07년 “호반벼”로 명명하여 신품종 보호 출원하였다. 주요 특성은 오대벼에 비하여 출수기가 약간 빠르고 주당수수가 92개 정도 되는 수중형 품종으로 등숙비율도 높아 10a당 쌀 수량이 526kg으로 많으며, 도열병 저항성이 높고 내냉성과 도복에도 강하여 재배안전성이 높다. 쌀알은 오대벼보다 약간 작은 중립종으로 도정율과 완전미율이 높고 심복백이 적어 쌀 품질이 좋으며 밥맛도 좋다.
 
2. 강원 5호(조생종, 수중형)와 6호(조생종, 수수형)는 ‘07년부터 전국 지역적응시험 중인데도내 고랭지를 제외한 모든 지대(지역)에서 벼 생육이 양호하고 쌀 수량이 많으며 미질이 우수하여 ‘09년 3년차 검토후 신품종 보호를 출원할 계획이다.
 
3. GWR 0702 등 3계통은 평야지, 중간지, 동해안지에서 모두 우수하여 강원 7~9호로 지정,‘09년부터 전국 지역적응시험에 공시할 계획이다.
2008_1작경_01동해안지역우량계통지역적응성검정.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