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강원지역 우수농업 경영체 발굴 및 확산 방안 연구
연구책임
채영길
등록일
2006-06-15
조회수
3260
연도
2005
연구과제명
우수경영체 발굴 및 확산방안 연구
과제구분
농경공동
첨부파일
ares050120.pdf (다운로드 수: 929)
내용

사업구분 : 농경공동

Code 구분 : LS001

농업경영(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기간

연구책임자

 우수경영체 발굴 및 확산방안 연구

‘05

농촌진흥청  김사균

 강원지역 우수농업 경영체 발굴 및 확산 방안 연구

‘05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채영길

색인용어

 우수경영체, 우수농업경영체, 경영기록, 선도농업인

4. 적  요

  본 사업의 목적은 우수한 농업인을 선발하여 농촌진흥청 우수농업인 시스템에 등재할 목적으로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2농가씩 조사하여 시스템에 등재하고, 그 중 212농가를 선별하여 조사된 농가의 경영주 인적특성과 경영성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사례분석 결과

  (1) 경영주 인적사항

  경영주의 성비는 남자 201명, 여자 11명으로 여성농업인 비중은 5% 수준이며, 가구당 평균연령은 47.2세, 최고령자 65세, 최연소자 26세로 분석되었으며 주 작목에 대한 재배경력은 15.3년, 연간 영농교육 이수 일수는 16.9일로 조사되었다. 경영기록은 매일 기록하는 농가가 68%(145호),조사농가의 11%(23호)는 아예 기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작목별 사업목적을 분석한 결과 과수 51호, 특용작물 30호,식량작물과 과채류 28호, 축산 18호, 화훼 16호순으로 분석되었다.

  (2) 경지보유 규모

  법인이나 작목반을 제외한 개별경영체가 보유한 평균 경지면적은 8.7ha(26,356평)으로 이 중 논 3.3ha, 밭 2ha, 시설 0.6ha, 과수원 2.8ha 로서 이는 전국 평균농가 보다 5.9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작목반이 보유한 경지면적은 15.7ha, 법인체는 11.0ha로 조사되었다. 조사농가중 축산을 주업으로 하는 농가는 18호이며 호당 평균 사육규모는 한우 63두, 젖소 30두, 돼지 1,370두, 닭 9,175수로 추정된다.

  (3) 경영유형체별 최상위 농가

  전체 조사농가 210개소에 대한 소득 분석결과 조수입 216,831천원에 경영비 121,782천원을 제외한 평균소득은 95,049천원으로 분석되었으며, 개별경영체의 최대소득 농가는 양돈업을 하는 농가로 조수입 1,578,774천원 경영비 1,170,000천원으로 연 408,774천원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법인경영체는 경기 여주에서 쌀 생산과 도정공장을 운영하는 경영체로조수입 2,700,000천원에 경영비 2,137,500천원을 제외한 소득은 562,500천원이며, 작목반은 강원 고성에서 10농가로 구성되어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작목반으로 조수입 7억원에 연 4억 5천 9백만원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연령대별 분석

  연령계층별 소득분석 결과 60대에서 151,043천원으로 소득이 가장높게 분석되었으나 이는 조사농가 자체가 60대에서 5농가밖에 없어 샘플수가 작고 이들이 보유한 경지면적이 타 연령층의 2.5배이상 넓어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이며, 30대에서 50대까지 연령대별 소득분석 결과 30대에서 93,900천원으로 가장 소득이 높았고, 40대에서 91,423천원, 50대 81,853천원순으로 분석되었다.

  젊은 계층에서 소득이 높게 나오는 이유는 경지면적 보유에 따른 작목 포트폴리오상 젊은 층에서 리스크가 큰 고소득 시설작목에 집중한 결과로 계층별 시설재배 면적이 30대 1,470평, 40대 1,201평, 50대 858평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5) 학력별 분석

  학력계층별 소득분석결과 학력과 농업소득과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고등학교을 졸업한 경영주에서 각 98,471천원, 97,365천원으로 높게 나타났고, 오히려 대학이상의 학력계층에서 77,782천원으로 가장 소득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이상의 계층에서는 재배면적은 3.3ha로 제일작고, 재배경력도 11.2년으로 짧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장 소득이 높은 중등학력 계층에서는 재배경력 20.3년으로 가장 많고, 연간 교육이수 일수도 21.7일로 가장 높게 나타나 학력과 소득과의 관계보다는 재배경력, 교육일수, 경지보유 규모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6) 개별경영체 품목별 분석

  쌀을 주 작목소득으로 하는 농가의 호당평균 재배면적은 10.7ha, 소득은 82,094천원으로 조사되었으며, 재배면적이 최대규모인 농가는 20만평에서 368,600천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최소 규모인 농가는 2,300평 규모에 6,211천원의 소득을 올려 소득격차는 59배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채류 중 토마토, 파프리카 농가의 호당평균 경영규모는 각 1,889평, 1,366평으로 나타났고, 호당 평균소득은 토마토 67,783천원, 파프리카 52,899천원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평당소득으로 환산하면 토마토 35,883원, 파프리카 38,725원으로 일반농가와 비교시 토마토는 1.5배, 파트리카는 0.8배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수농가의 평균경영 규모는 사과 8,155평, 배 7,404평, 단감 21,250평으로 나타났으며, 호당 평균소득은 사과 103,681천원, 배 91,558천원, 단감 122,217천원으로 조사되었으며, 평당소득은 사과 12,119원, 배 12,366원, 단감 5,751원으로 분석되었다.

  축산농가의 평균 사육두수는 한우 135두, 돼지 2,867두로 나타났으며, 호당평균 소득은 한우(비육우) 89,293천원, 양돈(비육돈) 184,141천원으로 분석되어 두당 소득으로 환산시 연간 한우 661,430원, 양돈 64,228원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우수농업경영체의 개념정의

  통계청이 발표한 2004년 우리나라 농가소득은 2,901만원으로 도시가구 근로자 소득 3,736만원의 78% 수준에 머물러 있고, 농가소득 중  순수하게 농업에서 얻은 소득은 12,050천원으로 농가소득의 42%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향후 우리농업을 이끌어갈 우수농업 경영체는 최소한 도시가구 근로자 소득을 상회하고, 일반농가 보다 2배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농가로서, 일반농업인이 벤치마킹할 가치와 능력을 보유한 농가로 잠정 정의하였다.

  상기 요건을 만족하는 농가는 2004년 기준으로 농가소득 기준6,000만원이상, 조수입 기준으로 연 1억이상의 매출이 있어야 가능하며, 본 조사농가중 위 요건을 만족하는 개별경영체로 운영되는 188농가 중에서, 조수입 1억이상 농가 109호, 소득 6천만원 이상 98호로 조사농가의 52%가 요건에 충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 조사상의 한계와 문제점

  본 조사사업의 주목적은 전국에서 우수한 농가를 선발하여 일반 농업인이 벤치마킹할 자료를 제공하여 농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추진되어졌다. 그 결과 통계처리를 위한 계량적 데이터 수집보다는 서술형 문자자료와 사진자료 수집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어 향후 정부 정책자료 개발을 위한 객관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다 수록하지 못한 점에 대하여 아쉬움을 갖는다. 농가의 경영형태는 개인, 작목반, 법인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나 본 조사사업의 조사표는 동일한 조사표로 조사되어 법인의 경우 출자금, 출자사원, 부채, 자산구조 등에 관한 정보가 수록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ares050120.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