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환경농업02]현장진단에 의한 양분관리 연구
연구책임
강안석
등록일
2011-07-06
조회수
2099
연도
2010
연구과제명
화학비료 사용저감을 위한 시비기술 개발
과제구분
기본연구
첨부파일
2010_환경농업2_현장진단에 의한 양분관리 연구.pdf
(다운로드 수: 506)
내용

토양검정은 작물이 필요로 하는 토양중 양분의 양을 조사하여 시비량을 결정하는 과학적
인 방법이다. 토양검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데 이유는 토양환경을 결정하는 요인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물을 재배하기 전에 토양의 상태를 잘 파악 할 수 있는 방법을 갖추어
야 농사를 과학적으로 지을 수 있게 된다. 최근 시설재배지 내에 염류 집적은 과비 및 연작
에 의해 주로 야기되며 재배기간중 작물과 토양의 양분상태를 알기위해서는 실험실 수준에
서 식물체와 토양에 대한 분석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밀분석은 시간이 많이 필요
로 하는 문제가 있는 반면에 농가현장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토양과 작물의 영양상태를 진
단할 수 있는 간이진단기술 및 판단기준이 필요하다. 기존에 식물의 영양진단 방법으로 잎
을 분석하여 건물중을 기준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용 되어왔다
(Kenworthy, 1973). 그러나 엽분석을 통한 영양진단 방법은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해 줄 수 없는 단점이 있어 기존의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실시간 영양진단법이
몇 가지 개발되었다(김 등, 2003; 김 등, 2004). 현장진단은 토양을 현장에서 분석하여 토양
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식물에 나타나는 증상을 눈으로만 진단하고 있는데 똑같은 증
상이라 하더라도 여러 가지 원인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히 진단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포장에서 토양을 분석하여 토양의 상태를 파악하여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시험의 목적은 농가에서 발생되는 토양비료 분야 민원을 실시간 해결하고, 더 나아가 작
물재배 전 토양양분 뿐만 아니라 재배 중에도 토양의 수용성 양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작물 생육에 맞는 최적의 비료를 공급 함 으로서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토양환경의 건전
성 확보를 위해 수행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