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고랭지 여름시금치 안정생산을 위한 종합재배기술 농가실증
연구책임
권헤정
등록일
2005-05-24
조회수
1958
연도
2004
연구과제명
고랭지 여름시금치 안정생산을 위한 종합재배기술 농가실증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s050901_여름시금치.pdf (다운로드 수: 439)
내용
사업구분 : 경상기본Code 구분 :
LS0208
채소(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연구기간연구책임자
고랭지 여름시금치 안정생산을 위한 종합 재배기술 농가실증04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권혜정
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고재영
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안명훈
태백시농업기술센터 우성용
색인용어시금치, 품질, 선도, 포장

[적 요 ]

  •  (시험 1) 여름시금치 지속재배 가능 기간 설정
    • 단경기 고랭지 여름시금치의 경제성을 고려한 재배 가능 기간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재배작형 I (6월상순 - 9월중순)에서 6월상순, 7월상순 파종한 처리구는
      - 초장은 22.7-23cm, 엽폭 8.5-9.8cm, 엽장 11.7-13.2cm, 엽수 14-16매
      - 상품수량은 1,594-1,773kg/10a이였음
      - 3기작(8월상순, 파종)은 엽수 11.4-12매, 상품수량은 1,061-1,069kg/10a이었음
    • 재배작형 II(6월중순-10월중순)에서 6월중순과 7월중순에 파종한 처리구는
      - 초장은 22.4-25.3cm, 엽폭 8.4-9.0cm, 엽장 12.5-14.4cm, 엽수12.2-14.6매,
      - 상품수량은 734-1,259kg/10a였음.
      - 3기작(8월중순, 파종)은 엽수 9.9-10매, 상품수량은 560-625kg/10a이었음
    • 따라서, 고랭지 여름시금치는 2기작으로 6월상순-9월하순까지 재배하는 것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됨
  • (시험 2) 여름시금치 수확후 선도유지 효과
    • 10℃ 유통시 필름처리에 의한 선도유지효과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감모율은 무포장은 5일후 11.2-14.8%로 상품성을 상실하였으나, PE포장시 9일 경과후에도 6.8-7.6%를 유지하였음
      - 엽록소(spad)함량은 저온 무포장은 엽색이 진해졌으며 PE포장은 유통기간중 엽록소 변화가 서서히 일어남
      - 잎의 황화현상은 10℃ 유통 온도에서는 저장 9일까지는 보이지 않았음 따라서 유통온도 10℃에서 시금치 선도유지는 무포장은 3-4일, PE포장은 9일이였다.
s050901_여름시금치.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