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저장조내 돈분액비 악취발생 경감연구
연구책임
강안석
등록일
2006-06-09
조회수
2019
연도
2005
연구과제명
축산분뇨 발효액비 활용연구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50808.pdf
(다운로드 수: 560)
내용
사업구분 : 경상기본 | Code 구분 : ES0105 | 농업환경(전반기)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기간 | 연구책임자 | |||
축산분뇨 발효액비 활용연구 | 03~05 | 강원도원 북부농업시험장 강안석 | |||
1) 저장조내 돈분액비 악취발생 경감연구 | 03~05 | 강원도원 북부농업시험장 강안석 | |||
색인용어 | 돈분액비, 악취, 폭기식저장조, 분사식저장조 |
4. 적 요
철원군의 모범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돈분 액비화사업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으나 최근 액비의 악취문제로 민원이 발생함에 따라 일부 돈본액비저장조가 가동되지 못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연구는 대표적 액비저장조의 유형에 따라 악취발생정도와 액비의 품질을 비교․검토하고 각 저장형태에 따른 장단점을 분석하여 돈분저장조의 발전적 개선을 통하여 돈분 액비화사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액비 표면상으로 배출되는 악취가스농도는 무처리저장조가 분사교반식/폭기식저장조보다 높았으나 밖으로 풍겨 나오는 악취감지정도는 무처리액비 표면에 두꺼운 피막형성으로 인한 악취 비산이 방해받는 반면에 분사교반식/폭기식저장조는 가동 중 공기를 강제로 품어내는 원인 때문에 분사교반식/폭기식저장조가 무처리저장조보다 높았다.
- 분사교반/폭기처리한 액비는 액비품질의 균질도가 높은 반면 무처리저장조의 액비는 상층, 증층, 및 저층간의 성분함량차이가 많아 불균질성이 높았음.
- 액비의 저장기간에 따른 유기물 및 건물중의 감소경향은 무처리저장조에서는 뚜렸하였으나 분사교반/폭기처리저장조의 감소경향은 일관성이 없었다.
- 분사교반식저장조는 액비에 이물질 혼입시 액비순환장치에 이상을 가져와 고장이 잦은 것으로 나타났고, 폭기식저장조는 공기주입배관이 하나밖에 없어 전체액비에 폭기 효과가 나타나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 무처리저장조는 배출액비의 악취발생 잠재능이 분사교반식/폭기식저장조의 액비보다 높아 실제 시용시 악취발생이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무처리저장조는 액비의 악취저감을 위하여 폭기 또는 교반시설을 추가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