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약용작물 번식 및 지역적응 연구
연구책임
김시창
등록일
2006-06-09
조회수
2135
연도
2005
연구과제명
북부지역 약용작물 개발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50807.pdf
(다운로드 수: 520)
내용
사업구분 : 경상기본 | Code 구분 : LS0205 | 인삼,약초 (전반기)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기간 | 연구책임자 | |||
북부지역 약용작물 개발 | 03~05 | 강원도원 북부농업시험장 강안석 | |||
1) 약용작물 번식 및 지역적응 연구 | 03~05 | 강원도원 북부농업시험장 김시창 | |||
색인용어 | 유전자원, 방풍, 복분자 |
4. 적 요
본 시험은 강원북부지역 재배가능 약초개발을 위해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의 적정 파종기 및 재식밀도 시험과 , 복분자 딸기(Rubus coreanus Miq))의 번식법 확립을 위해 지역적응성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1) 강원 북부지역에서 방풍의 적정 파종기 및 재식밀도 시험(04~05)
- 가. 북부 내륙지역에서 방풍 직파시 파종적기는 3월하순경으로 생체중 84.2g/주, 건근 수량 510kg/10a 으로 타처리에 비해 10~26%의 증수효과를 보였음.
나. 방풍 직파시 적정 재식밀도는 수량면에서는 밀식 20×10cm 이 유리하다 판단되나, 품질등을 고려하여 볼 때 20×15cm, 20×20cm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됨.
- 가. 복분자 딸기 반숙지삽의 발근상태는 IBA는 25mg/l, NAA는 10mg/수준에서 발근상태가 양호하였으며 발근수 발근장은 IBA의 경우 농도가 낮을수록 양호한 경향이나 NAA의 경우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나. 복분자 딸기의 월동상태는 지역수집종 모두 신초의 23.0~88.4%의 동사율이 심하였고, 이중 내동성이 비교적 강하고, 대과종인 S-4 등 3계통을 선발하였으나 기후등 지역적응성 관계로 집단 대량재배 도입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