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무사마귀병 발생생태 및 방제법 개발
연구책임
이재홍
등록일
2007-09-27
조회수
4294
연도
2006
연구과제명
고랭지농업 안정생산기술 개발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60302.pdf (다운로드 수: 745)
내용
    

과제구분

기관프로젝트

수행시기

전반기

중장기Code

 

RIMS Code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Code)

수행
기간

연구실

책임자

 고랭지농업 안정생산기술 개발

LS0208

93∼10

환경농업연구과

김승경

 무사마귀병 발생생태 및 방제법 개발

LS0602

97∼06

환경농업연구과

이재홍

색인용어

  배추, 무사마귀병, 발생생태, 방제

4. 적  요

 가. 무사마귀병 발생원인 조사

      토양검정 시험결과 발병 토양과 무발병 토양에서 이화학성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인산이 적정치보다 3배 이상 높고, 유기물의 함량이 적정치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생물검정 시험결과 병 발생은 전체토양에서 42%(102점/245점),  발병지 토양 55%(67점/121점), 인근지 토양 28%(35점/124점)로 나타났다.  그리고 토양시료의 부족이나 뿌리썩음에 의해 검정할 수 없는 토양은 발병지에서 20점, 인근지에서 7점 등 전체 27점이었다.

      발병지에서의 재배상황 조사결과 주 재배품종은 노랑봄배추와 고랭지여름 배추가 많았으며, 정식은 4월에서 5월사이, 발병시기는 6월 중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심했다.  발병지에서의 연작은 3년부터 15년까지 평균 6.8년 정도로 나타났으며, 태백이 평균 7.6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나. 무사마귀병 십자화과 잡초기주 구명

      13종의 십자화과 잡초에서 병원균 접종 결과 표 5와 같이 나타났으며, 1차 감염은 13종의 모든 잡초에서 확인되었고 2차감염은 장대나물 등 4종에서 확인되었다.  장대나물과 말냉이는 혹형성이 빠르고 컸으며, 나도냉이와 콩다닥냉이는 혹형성이 이보다 조금 늦으며 작았다.

 다. 무사마귀병 저항성 품종 선발 및 실증

      무사마귀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 선발시험은 97년부터 2000년까지 4년에 걸쳐 태백시와 평창군에서 실시하였다.  무에서는 97년도 35 품종 및 계통을 공시하였고 그 결과 청운무 등 18종이 저항성 품종으로 나타났고, 99년도에는 27종 중 청운무, 백자무 등 14종이 저항성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도에는 32종 중 백광무 등 15종이 무사마귀병에 대해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배추의 저항성 품종검정 시험에서 98년도에는 21종 중 94CC789 등 8종이 저항성으로 나타났고, 99년도에는 28종 중 CR싱싱 등 12종이 저항성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도에는 CR그린 등 7종이 무사마귀병에 대해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양배추 저항성 검정 시험은 98년부터 2000년까지 3년동안 총 82계통 및 품종을 검토하였고, 검토결과 모든 품종 및 계통에서 발병하였으며 저항성 품종 및 계통은 없고 모두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에서 무사마귀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 실증 결과 2002년까지는 CR계통에서 발병이 되지 않았으나 2003년부터는 저항성 품종에서도 이병화가 나타나기 시작해서 2005년 이후부터는 저항성 품종에서도 80% 이상의 발병주율을 나타냈다.

 라. 경종적 방법에 의한 배추 무사마귀병 방제법 개발

      1) 단기윤작에 의한 배추 무사마귀병 방제
      단기윤작에 의한 무사마귀병의 방제효과 시험에서 1년동안 윤작하거나 2년동안 윤작하였을 때 모두 병의 방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염원 제거에 의한 배추 무사마귀병 방제
      전염원의 제거에 의한 무사마귀병 방제효과 시험결과 전염원인 이병뿌리를 제거한 처리와 제거하지 않은 처리간에 차이 없이 모두 발병이 100%로 전염원의 제거가 병발생의 경감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석회시용에 의한 배추 무사마귀병 방제
      석회처리전 시험포장의 토양 pH는 5.4였으나 석회처리 후에는 토양 pH가 6.5로 나타났다.정식 35일째 발병주율 조사에서는 생석회가 45%로 가장 효과가 좋았으나 수확시 발병도 조사에서는 발병도 100%로 처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종이폿트 이용 무사마귀병 방제
      종이폿트를 이용하여 육묘하면 10-20% 정도의 방제효과가 나타났고 셀의 크기가 큰 72공 종이폿트가 좀더 효과가 좋았으며, 약제처리와 병용했을 때 방제효과가 좀 더 좋게 나타났다.

      5) 무사마귀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자재 선발
      봄재배에서는 피토알렉신, 땅병왕 및 지하부대 등이 방제효과가 등록약제인 후루설파미드분제와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재들을 가을재배에 다시 집중적으로 처리한 결과 모든 자재들에서 발병주율 100%로 방제효과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우수방제약제 선발

      97년도 시험에서는 후루아지남액상수화제를 정식 10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을때 방제가 58.8로 가장 효과가 좋게 나타났고 대조약제인 후루설파마이드분제의 경우 방제가 28.6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98년도 시험에서는 후루아지남액상수화제의 정식시 2,000배 관주처리가 방제가 79.1로 가장 효과가 좋았고 후루아지남수화제 2,000배 관주처리도 방제가 72.3으로 좋게 나타났다.  그러나 후루아지남액상수화제나 후루아지남수화제의 관주처리는 생육초기 3-7일 정도의 생육지연현상이 나타났으며 이것은 생육중기로 접어들면서 회복되었다.

      99년도 시험에서는 다조메입제를 토양소독제로 처리하였을 때 방제가 8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고 후루아지남수화제 관주처리나 후루설파마이드분제 토양혼화처리는 방제가 70% 이하로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후루아지남수화제 관주처리는 98년도 시험에서와 같이 생육초기에 다소 생육지연현상이 발생하였다.

      2000년도 시험에서는 단일 약제처리와 두가지 약제 동시처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후루설파마이드분제 토양혼화와 아족시스트로빈액상수화제 관주처리가 방제가 7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후루아지남수화제, 아족시스트로빈수화제 및 후루설파마이드분제 단일 처리는 방제가 60% 정도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2002년도 시험에서는 트리플록시스트로빈입상수화제 위주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2,000배액을 정식시 관주처리하였을 경우 방제가 85.0%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이 약제도 후루아지남수화제보다는 약하지만 초기생육에 있어 미미한 생육지연현상을 나타냈다.

      2003년도 시험에서는 시아조파미드액상수화제 중심으로 시험을 수행하였고 정식시 1,000배액 관주처리나 400배액 침지처리의 경우 방제가 85%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2004년도 시험에서는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약제들을 공시하였다.  시험결과 이프로발리카브․쿠퍼옥시클로라이드수화제 등 5종의 약제에서 심한 약해를 나타냈으며, 방제효과는 이프로프로피수화제, 디메쏘모르프․만코지수화제 및 옥사실엠수화제가 다소 좋게 나타났으나 시아조파미드액상수화제와는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 종합방제법 개발

      1) 무사마귀병 병원균 오염도별 방제방법
      균밀도가 g건토당 104개에서는 대부분의 처리에서 발병도 20% 이내로 단일처리에서도 방제효과가 좋게 나타났으나 105개에서는 아족시스트로빈수화제 관주처리를 제외하고 단일처리에서는 방제효과가 낮았으며 두가지 이상의 복합처리에서 방제효과가 좋았다.

     2) 종이폿트육묘×석회시용×약제처리 조합
      봄재배에서는 전반적으로 10a당 400kg 석회시용에서 발병도 및 생체중 모두 좋게 나타났으며 처리별로는 후루아지남분제 토양전면혼화후 후루아지남수화제 침지처리, 후루아지남분제 토양전면혼화후 아족시스트로빈액상수화제 침지처리 및 종이폿트 육묘후 후루설파마이드분제 토양혼화 처리가 방제효과가 좋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을재배에서도 마찬가지로 석회 10a당 400kg처리에서 방제가 및 주당 생체중이 좋게 나타났고 처리별로는 후루설파마이드분제 토양혼화후 정식시 아족시스토리빈수화제 정식시 침지처리 및 종이폿트 육묘후 후루설파마이드분제 토양혼화처리가 방제효과가 좋게 나타났다.

      3) 저항성품종×석회시용×약제처리 조합
      약제에서는 시아조파미드액상수화제 관주처리가 방제가 90% 이상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시아조파미드액상수화제 침지처리는 다소 방제효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주당 지상부 생체중에서도 시아조파미드액상수화제 관주처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석회처리시 토양의 pH는 5.2에서 6.6으로 높아졌고 발병주율은 5내지 15% 정도 낮아졌으며, 생체중은 100내지 400g 정도 높게 나타났다.

ares060302.pdf